NGO 사회적 책임의 역사∙사회적 변화

 

 

 

 

모든 사회적 기관의 책임은 그 기관이 활동하는 역사적 사회적 발전단계 및 특성에 영향을 받는다. NGO의 사회적 책임도 마찬가지이다. NGO에게 요구되는 사회적 책임의 내용은 시대에 따라 그리고 지역에 따라 변화되었으며 NGO는 이에 맞게 대응해 나왔다.

 

 

 

1) 1980~1989 : (정부에 비해) 비교우위를 가진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NGO

 

정부 및 다자간 기구를 통한 국제원조가 비효과적이고 비효율적이라는 인식이 부상하면서 당시 서비스 제공 기능을 주로 담당하던 NGO의 해외원조에 대한 효과에 대한 기대가 증가하였다. NGO는 정부에 비해 효과적으로 목표집단(수혜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로 인식되었고 자연스럽게 NGO를 통한 해외원조가 증가하여 NGO가 성장 발전하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NGO는 해외원조 비용으로 지원 받은 금액에 대한 재정적 책임을 다하고 성과측정방식을 향상함으로써 사회적 책임을 다하였다.

 

 

2) 1989~1995 : 민주화의 핵심 역할자로서의 NGO


냉전체제가 붕괴되기 시작하면서 동구유럽의 민주화와 제3세계의 민주화가 진행되었다. 이 때 NGO는 민주화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는 주된 역할자로 인식되었고, NGO 스스로도 민주화의 선구자로서 새로운 책임을 담당하기 위해 NGO의 역량을 향상시켜 나갔다. NGO 매니지먼트와 관련하여 내부적 거버넌스의 질 향상, 윤리강령 및 사명문 등 조직의 의도와 행위의 형식화가 주된 담론으로 부상하였다.

 

 

3) 1995~2002 : NGO의 역할에 대한 도전

 

신자유주의의 세계화에 맞서 NGO는 Advocacy 기능을 확대하고 전세계적으로 격렬한 반세계화 운동을 전개했다. 이에 세계화와 개발에 있어서 NGO의 역할에 대한 논쟁이 가열되었고 동시에 NGO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과 비판 또한 증대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NGO는 인증 매커니즘(accreditation mechanism)과 자기규제(self regulation)를 통해 사회적 책임에 대응하였다.

 

 

4) 2002 이후 : NGO에 대한 반동, 책임성 제고를 통한 신뢰 증진

 

2002년 이후 NGO의 사회적 책임은 크게 두 가지 흐름을 보인다. NGO의 책임성 수준에 대한 문제가 계속 제기되면서 NGO는 적법한 정부기관의 감시와 통제가 필요한 기관으로 신뢰성에 대한 심사나 외부통제를 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증가하는 한편 NGO 스스로 책임성 요구를 이해하고 수용함으로써 여러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책임성 간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신뢰를 증진시켜 나가고 있다.

 

 

 

 

덧.

이 글은 Lisa Jordan & Peter van Tuijl, 「Rights and Responsibilties in the Political Landscape of NGO Accountability : Introduction and Overview」의 Short history of NGO accountability 부분을 참고하여 작성한 것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