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동주


 

 

 

별 헤는 밤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 차 있습니다.

 

나는 아무 걱정도 없이

가을 속의 별들을 다 헤일 듯합니다.

 

가슴 속에 하 둘 새겨지는 별을

이제 다 못 헤는 것은

쉬이 아침이 오는 까닭이요,

내일 밤이 남은 까닭이요,

아직 나의 청춘이 다 하지 않은 까닭입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어머님, 나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 봅니다. 소학교 때 책상을 같이 했던 아이들의 이름과, 패(佩), 경(鏡), 옥(玉) 이런 이국 소녀들의 이름과, 벌써 애기 어머니 된 계집애들의 이름과, 가난한 이웃 사람들의 이름과, 비둘기, 강아지, 토끼, 노새, 노루, '프랑시스 잠' '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런 시인의 이름을 불러 봅니다.

 

이네들은 너무나 멀리 있습니다.

별이 아슬히 멀 듯이.

 

어머님,

그리고 당신은 멀리 북간도에 계십니다.

 

나는 무엇인지 그리워

이 많은 별빛이 내린 언덕 위에

내 이름자를 써 보고

흙으로 덮어 버리었습니다.

 

딴은 밤을 새워 우는 벌레는

부끄러운 이름을 슬퍼하는 까닭입니다.

 

그러나 겨울이 지나고 나의 별에도 봄이 오면

무덤 위에 파란 잔디가 피어나듯이
내 이름자 묻힌 언덕 우에도

자랑처럼 풀이 무성할 게외다.

 

 

- 1941.11.5. 윤동주 -

 

 

 

 

부끄럽지만 지금까지 윤동주의 <별 헤는 밤>이 이렇게 가슴 속 깊이 아련하게 파고드는 시인지 몰랐다. 그도 그럴 것이 나는 시를 일종의 암호 같은 것으로 처음 접했고, 그렇게 오랜 시간에 걸쳐 배웠다. 각각의 시어가 무엇을 의미하고 상징하는지 해석하고 또 그 내용을 달달 외워야 했다. 윤동주의 <별 헤는 밤>도 마찬가지었다. 화자가 별을 보며 어린 시절을 회상하는 내용이라는 것과 함께 이것이 조국 독립에 대한 염원을 담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 시는 서정시에 해당한 다는 등의 누군가 전해준 내용을 머릿속에 주입해 넣기 바빴다. 시를 시로서, 마음 속에서 느낄 여유를 가져본 적이 없었다.

 

그러다 『시인 동주』를 읽었고, 다시금 윤동주의 시와 마주하게 되었다. 분명 예전에도 수없이 접했던 시인데 확연히 다르게 다가왔다. 뭐라고 해야 할까. 예전에 보았던 해독용 암호가 더이상 보이지 않았다. 대신 그 자리에 자신의 감정을 투영해 시를 읊고 있는 한 사람이 있었다. 조용한 가운데 느리게 울려펴지는 간곡한 목소리. 각행과 연은 물론 시어 하나도 허투루 넘어갈 수 없었다. 아름답게 표현한 그 이면에 있는 슬픔과 고뇌, 일제 식민지 시대에 우리나라 국민이 겪어야 했던 한과 애환이 고스란히 느껴졌다.

 

윤동주 하면 연희 전문대 시절의 준수한 모습만 봤었기에 요절한 천재로만 생각했었는데... 정말이지 윤동주에 대해 너무나도 몰랐다. 그가 일본 유학 시절 억울하게 후쿠오카 감옥에서 옥살이를 하게 되었고, 영문도 모르고 생체실험을 당하다 이 세상과 작별을 고했다는 사실을. 이러한 내용이 담긴『시인 동주』의 뒷부분의 이야기는 실제 있었던 일이기에 더욱 가슴이 미어지게 아팠다. 그 중에서 <별 헤는 밤>의 여운이 길게 남았던 윤동주의 마지막 순간에 대한 묘사를 옮겨 놓는다.

 

"작은 철창 밖으로 보이는 밤하늘은 남빛으로 시리도록 맑았다. 점점이 빛나는 별들도 보였다. 동주는 누워 있는 제 몸을 내버려 두고서, 창밖의 별에게 갔다. 형무소의 높은 담장도, 독방의 쓸쓸한 벽도, 높이 걸린 창틀도, 질러 놓은 창살도, 동주와 별 사이에는 없었다. 오로지 별이 가득한 밤하늘과 자신뿐이었다. 동주는 별 하나에 아름다운 말 한마디씩 불러 보았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시인 동주 pp.299~30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