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위서」동이전에 기록된 한 줄의 글에서 시작된 이야기

검은 활

 

 

지역작가 응원프로젝트를 통해 알게 된 책. 『검은 활』. 책을 받아보기 전에는 역사를 전공했던 어느 한 주부가 쓴 소설이라고 들어서 처음이니까 아마도 단편 소설이겠지 싶었다. 그런데 막상 책을 받아보니 두께감이 묵직하다. 설마 처음부터 장편 소설을 쓴 것인가? 대게는 짧은 소설부터 시작해 장편으로 넘어가기 마련인데 예상치 못한 결과물에 깜짝 놀랐다. 처음부터 긴 줄거리를 알차게 엮어나가기는 힘들텐데... 하지만 이러한 나의 우려는 한낱 기우일 뿐이었다. 대강 책을 훝어보니 나의 염려가 무색할 정도로 구성이 탄탄하고 저자의 글솜씨가 매끄러웠다. 우와. 정녕 이것이 저자의 첫소설이라니. 도저히 믿기지 않을 정도였다.

 

한참을 감탄만 하다 겨우 검은 활의 전설 속으로 들어갈 수 있었다. 처음부터 빨려드는 묘한 매력. 정확히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조선이 망한 후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등의 여러 나라가 성장해가던 시대로 거슬러 올라갔다. 저자가 나를 데려간 곳은 동쪽 대륙에 예족이 살고 있는 화려국이라는 곳이었다. 그곳의 상황이 얼마나 생생하게 전해지는지 마치 내가 화려국의 사람이 되어 그곳에 살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들 정도였다. 메주를 만드는 아낙네와 그 주변에서 얼쩡거리는 꼬마들, 사냥을 나갔다 짐승을 메고 돌어오는 사내들을 반기는 동네 사람의 모습이 내 기억 속의 한 장면이 되어 각인되었다.

 

사실적으로 묘사되는 고대 사람들의 생활 풍습을 접하다보니 자연스레 역사적 지식도 쌓였다. 국사 시간에 무슨 내용인지도 모르고 가까스로 명칭만 익히기에 급급했던 것들 - 예를 들어 '무천'이나 '책화' 같은 것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어떤 때에 적용되는 것인지 명확하게 알 수 있었다. 또 그 당시 각 나라들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그리고 그 중에서 가장 크게 성장해 나간 고구려의 상황은 어떠했는지 - 왕과 귀족 간의 권력관계와 규범, 문화가 재미 있는 이야기 속에 녹아 있었다. 괜히 역사소설이라는 타이틀이 붙은 게 아니었다.

 

『검은 활』의 정확한 시대적 배경은 우태후와 교체가 등장하면서 드러났다. 서안평을 공격했다가 패하고 그 여파로 환도성까지 내주며 피난길에 오르는 동천왕 교체. (서기 244년의 일이다.) 고구려의 명장 밀우와 유유, 유옥구는 교체를 보필하며 옥저로 향하고, 검은 활의 제조술을 터득하려는 주달은 고구려 최고의 활장이 수리를 데리고 검은 숲으로 간다. 교체를 죽이려는 위나라 관구검은 계속해서 고구려군을 추격하고, 최고의 활기술을 차지하려는 낙랑군 유무는 끊임없이 수리를 뒤쫓으면서 박진감이 고조되었다. 여기에 덧붙여 이야기 속에 속속들이 녹아 든 남녀의 사랑 이야기와 그들의 선택이 어우러지면서 검은 활의 전설은 무게감이 있지만 그렇다고 너무 처지거나 가라앉지 않고 흥미진진하게 전개되었다. 그래서인지 책을 읽고 나니 마치 한편의 잘 짜여진 영화나 대하드라마를 보고 난 듯한 느낌이 든다. 넌지시 『검은 활』 의 이야기가 진짜로 영화가 되거나 드라마로 만들어지는 상상을 해 본다.

 

하지만 한가지 아쉬운 점이 있다면 『검은 활』의 감수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교정을 제대로 하지 않은 글을 출판사에 넘긴 저자의 잘못인지 아니면 꼼꼼하게 감수를 하지 않은 채 출판한 출판사의 잘못인지는 모르겠지만 어쨌든 『검은 활』의 감수에 대한 부분은 완벽한 옥에 티를 남기고 말았다.

 

나무랄 데 없이 훌륭하거나 좋은 것에 있는 사소한 흠을 이르는 말. <네이버 국어사전>

 

아주 조금만 더 신경을 썼으면 좋았을텐데... 내가 지나치게 민감하게 받아들인 것일 수 있지만 너무 재미 있어서 잠자는 것도 잊은 채 애착을 가지고 읽은 책인지라 사소한 오점에도 아쉬움이 크게 남는다. 아마도 나중에 개정판이 나올 때에는 철저한 감수를 거쳐 오류를 교정하고 더욱 체계적이고 완벽하게 『검은 활』을 업그레이드 해서 내놓겠지! 첫작품으로 『검은 활』이라는 거대한 작품을 선보인 최윤정 작가라면 충분히 그렇게 하고도 남으리라 믿는다. 그래서인지 그가  새로이 집필하기 시작했다는 또다른 작품에 벌써부터 관심이 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