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llow the party"
4.15총선에 해커가 남긴 메시지가 숨어 있었다고 한다.
하태경은 "follow the ghost"도 가능하다며 "follow the party"는 부정선거 음모론이고 유령을 좇는다고 비난했는데 알고보니 전세계 부정선거의 중심지가 한국이었다. 부정선거도 한류를 타고 전세계로 뻗어나가고 있었다.




-------------------------
세계로 수출되는 K-부정선거
-------------------------
A-WEB = 세계선거기관협회
USAID = 美국제원조기관/ 美국제개발처


서올신문
개도국에 '선거 한류' 가르친다 (2014.05.03)
https://n.news.naver.com/article/081/0002421323?sid=100

개도국에 ‘선거 한류’ 가르친다

[서울신문]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도하는 선거관리 분야 최대 국제기구인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가 다른 국제기구들과 손잡고 개발도상국에 선거관리 ...

n.news.naver.com

사진: 세계선거기관협회, 美국제원조기관과 MOU 체결


파이낸스투데이
중앙선관위와 A-WEB, 해외 부정선거에도 연루 충격 (2020.10.08)
https://www.fn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4808

"중앙선관위와 A-WEB, 해외 부정선거에도 연루" 충격 - 파이낸스투데이

4.15총선 부정선거의혹을 받고 있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A-WEB (사무총장 최종현)이라는 단체를 만들었고, 이 A-WEB이 수년 전 부터 세계 각국의 부정선거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는 정황

www.fntoday.co.kr



A-WEB 소개영상
102개국 106개 단체 가입
https://youtu.be/fZCcO5PJZEU



더퍼블릭
청산 대상 지목된 미 국제개발처,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자금 지원?
https://www.thepublic.kr/news/articleView.html?idxno=249387

‘청산 대상’ 지목된 美 국제개발처, 세계선거기관협의회(A-WEB) 자금 지원?

[더퍼블릭=오두환 기자] 미국 도널드 트럼프 집권 2기 출범 후 '청산 대상'으로 지목된 대외 원조 전담 기구 국제개발처(USAID)가 사실상 간판을 내린 채 국무부 산하 조직으로 대폭 축소될 전망이

www.thepublic.kr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1196708?sid=102

문형배 헌법재판관, 세계선거재판회의 제3차 총회 참석

(서울=연합뉴스) 문형배 헌법재판관이 6~8일(현지시간) 멕시코 로스 카보스에서 열리는 세계선거재판회의 제3차 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2019.11.7 [헌법재판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

n.news.naver.com





----------------
follow the party
----------------


간 큰 이야기 2화- 부정선거의 완성
12:17 하태경 "follow the ghost"도 가능
https://youtu.be/0oqO-ATQq3s





해커의 지문 발견기 pdf
https://www.npknet.org/

The New Paradigm

싱크탱크 사단법인 법치와자유민주주의연대(NPK) 매체

www.npknet.org









윤석열 대선후보 연설
https://youtu.be/HBKCZHz75lI

"민주당 정권은 정상적인 정권이 아닙니다. 자유민주주의 정권이 아닙니다. 이 사람들이 지난 선거에서 200석 이상을 확보했으면 이 사람들은 아마 헌법을 개정해서 우리 자유민주주의의 자유를 빼려고 했을 겁니다. 그래서 이 땅의 보수라고 하는 것은 바로 자유민주주의를 말하는 것입니다. 원래 진보라고 하는 것도 자유민주주의의 틀 안에서 지금보다는 조금 더 이상주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생각을 하자는 그런 것인데 이런 강제적인 평등, 그걸 위한 전체주의와 독재. 반드시 수반되는 것입니다. 이 사람들이 말이 평등이지 평등을 강제적으로 지향하다 보면 막강한 전체주의 권력이 생겨나기 때문에 그 사람들이 또다시 국가의 이익과 자리와 이런 것을 전부 독점하게 됩니다. 그러니까 강제적인 평등이라는 것은 존재할 수 없는 것입니다."





+ Recent posts